생활정보

계속졸린이유 과다수면증,기면증 의심해봐야

brandingline2024 2024. 8. 15. 11:24
반응형

 

충분한 수면을 취했음에도

낮 시간 내내 졸음이 쏟아진다면

단순한 피로 이상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과도한 졸림은 업무 능률을 떨어뜨리고

사고 위험을 높이는 등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증상이 지속된다면

과다수면증이나 기면증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 글에서는 과다수면증과 기면증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각 질환의 원인과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과다수면증 기면증 차이점

 

과다수면증과 기면증은 모두 과도한 졸림을 유발하지만, 증상과 원인 면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과다수면증 환자는 늘 피곤하고 졸려 하루 종일 졸음이 몰려옵니다. 거기다 충분히 자도 개운치 않고,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졸립니다. 과다수면증은 우울증, 갑상선 질환, 수면무호흡증 등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기면증은 수면 중 급작스럽게 렘수면에 빠져들면서 낮에 참을 수 없는 졸음이 엄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오레킨 신경세포의 손실로 각성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발생합니다. 운전 등 일상 활동 중에도 순간적으로 잠에 빠져 위험할 수 있죠.


과다수면은 자신이 잠에 빠지는 것을 어느 정도 인식할 수 있지만, 기면증은 본인도 모르게 잠들어 버리기 때문에 자각이 어렵습니다.


이처럼 두 질환은 졸림이라는 유사 증상이 있지만 기전이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과 증상에 맞는 치료가 중요합니다. 과다수면은 기저 질환의 치료와 수면 습관 개선으로, 기면증은 약물 치료와 낮잠 관리 등으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졸림으로 일상에 큰 불편을 겪으신다면 수면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과다수면증, 기면증 치료방법

 

과다수면증과 기면증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수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개인의 증상과 상황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다수면증의 치료 방법

- 기저 질환 치료: 우울증, 갑상선 질환 등 과다수면의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합니다.
- 수면 교육: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기르고, 수면 환경을 개선합니다.
- 약물 치료: 모다피닐, 메틸페니데이트 등의 각성제가 처방될 수 있습니다.
- 인지행동치료: 수면에 대한 잘못된 생각이나 행동을 교정하는 심리 치료입니다.

기면증의 치료 방법

- 수면 교육: 규칙적인 수면 스케줄, 낮잠 관리 등 올바른 수면 습관을 들입니다.
- 약물 치료: 모다피닐(기면증치료제) 등이 주로 사용되며, 의사 처방이 필수적입니다.
- 낮잠 관리: 계획된 낮잠으로 갑작스런 졸음을 예방하고 각성 상태를 유지합니다.
- 안전 관리: 운전 등 일상 활동 중 사고 위험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정서적 지지: 증상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대한 상담과 지지가 도움됩니다.

과다수면증과 기면증은 만성적으로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 진단과 포괄적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약물 치료와 더불어 생활 습관 교정, 심리 상담 등을 병행하는 것이 증상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올바른 수면 가이드

 

1)규칙적인 수면 시간 유지하기
- 매일 같은 시간에 잠들고 일어나는 습관을 들입니다.


2) 숙면에 도움되는 환경 조성하기
- 침실은 어둡고 조용하며 서늘한 온도를 유지합니다.

- 편안한 매트리스와 베개를 사용합니다.
- 침실에서는 TV 시청,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합니다.


3)규칙적인 운동으로 수면의 질 높이기
- 주 3회 이상, 하루 30분 정도의 적당한 유산소 운동을 합니다.
- 너무 격렬한 운동, 늦은 저녁 시간대 운동은 피합니다.


4) 숙면에 도움되는 식습관 기르기
- 저녁 식사는 가볍게 하고, 취침 2-3시간 전에는 먹지 않습니다.
- 카페인, 알코올, 담배는 수면에 방해가 되므로 피합니다.
- 따뜻한 우유나 허브티는 숙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마음을 평온히 하고 스트레스 줄이기
- 취침 전 명상, 심호흡, 스트레칭으로 심신을 안정시킵니다.
- 걱정거리는 메모해두고, 생각을 의식적으로 중단합니다.

수면질환을 치료하려면 환자 스스로가 희망을 잃지 않고 치료에 적극 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가족과 주변의 이해와 지지 속에서 긍정적 마음가짐으로 건강을 되찾기 위해 노력한다면, 단시간 내에 수면질환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숙면은 건강한 삶의 기본이 되는 만큼, 과다수면증과 기면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극 대처하여 행복하고 활기찬 일상을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