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일상생활 속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알려드리는 브랜딩획입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흰옷은
다른옷과 매칭을 하여 입거나
흰티만 입는 경우도 많은데요.
그만큼 자주 입다보니 시간이 지날수록
묵은때나 누런얼룩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오늘은 빨래를 해도 쉽게 지워지지 않는
흰옷묵은때 누런얼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과탄산소다, 주방세제 활용하기
흰옷에 누런때가 생기는 경우 과탄산소다, 주방세제를 활용하여 묵은때를 제거할 수 있는데요. 먼저 뜨거운 물에 과탄산소다를 녹여준 후 주방세제를 섞어 혼합물을 만들어 줍니다. 이 과정에서 약품을 흡입하지 않도록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되도록이면 장갑을 착용하시길 바랍니다. 혼합물을 만들었다면 누런얼룩,묵은때가 있는 옷에 뿌려준 후 5분정도 기다려줍니다. 이후 세탁기에 넣어 빨래를 해주면 되는데요. 세탁기에 넣기 전 손빨래를 가볍게 해준 후 세탁을 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묵은때가 제거될 수 있습니다.
✅ 베이킹소다, 식초 활용하기
얼룩이 있는 흰옷을 물에 적신 후 오염부위에 베이킹소다를 뿌려줍니다. 어느정도 손으로 조물조물해준 후 식초를 부어 5분정도 방치해둡니다. 방치가 끝나면 물로 한번 헹궈준 뒤 세탁기에 넣어 세탁을 해주면 묵은때가 제거될 수 있습니다.
✅ 과산화수소 활용하기
옷이 들어갈만한 바구니에 물을 받고 과산화수소와 가루형 세탁세제를 넣어 혼합물을 만들어 줍니다. 이 과정에서도 1번 방법과 마찬가지로 약품을 사용하여 세탁을 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셔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해주시길 바랍니다. 옷이 충분히 적셔지면 얼룩이 묻은 부위를 집중적으로 손빨래해주도록 합니다. 이후 세탁기에 넣어 마지막 세탁을 해주면 누런얼룩과 묵은때가 제거될 수 있습니다.
✅ 레몬을 이용한 방법
레몬은 생활 속 다양한 영역에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레몬과육,레몬껍질 등 쓸모가 많은 레몬을 활용하여 묵은때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레몬껍질을 물에 넣어 끓여주게 되면 물의 색깔이 변하는데요. 여기에 오염된 흰옷을 넣어 1시간정도 방치해두면 누런얼룩이나 묵은때가 제거될 수 있습니다. 옷을 건져낸 후 물로 헹궈준 뒤 마지막 세탁을 해주면 누런때가 효과적으로 제거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치약 활용하기
사용하지 않는 칫솔과 치약으로 얼룩을 지울 수 있습니다. 치약을 오염부위에 도포한 후 칫솔로 문질러주면 누런얼룩이 제거될 수 있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치약이나 평소 쓰지 않는 치약을 버리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니 환경적으로도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흰옷세탁시 주의할 점
흰옷의 묵은때 누런얼룩을 제거하거나 세탁을 할 때는 몇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1) 찬물로 세탁하기
흰옷을 세탁할 때는 찬물로 세탁하는 게 좋습니다. 뜨거운 물은 옷감의 변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적정량의 세제 사용
흰옷의 질감에 맞는 세제를 선택하고 과도한 세제 사용을 자제하도록 합니다.
3) 세탁 후 바로 건조하기
흰옷 세탁이 끝나면 방치하지 말고 즉시 꺼내어 자연건조하도록 합니다.
⭐ 흰옷만 가능할까?
흰옷 외에도 흰천이나 얼룩이 묻는 수건,행주 등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 달걀껍데기를 활용할 수 있는데요. 오염된 흰천이나 수건을 달걀껍데기와 함께 삶아주면 표백효과로 인해 원래의 색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옷,양말,냅킨,수건 등)
오늘은 흰옷묵은때 누런얼룩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렸는데요.
흰옷의 얼룩이 세탁으로 제거가 되지 않는다면
위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흰옷의 누런때와 얼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약품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환기와 보호도구를 착용한 후
세탁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외선차단양산,우산 상관없을까? (1) | 2024.08.02 |
---|---|
복통에 좋은 운동 4가지 (1) | 2024.08.01 |
잦은기침 원인과 좋은 음식 (0) | 2024.07.31 |
지루성두피염 비듬,각질 원인 관리방법 살펴봐요 (0) | 2024.07.30 |
머리가 지끈지끈 두통없애는법 5가지 (0) | 2024.07.29 |